지금 진행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주제는 시각장애인 투자자 맞춤형 주식 AI 어드바이저 어플리케이션 개발이다.
나는 wisper AI를 이용해 음성 데이터를 추출 ,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해서 LLM을 구축하는 것도 담당하지만, 유일한 프론트엔드 팀원으로서 프론트엔드 개발을 전적으로 담당해 진행하고자 한다. 😅
그래서 타겟 유저가 시각장애인인 만큼 UIUX는 비장애인들이 사용하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.
국제 웹 표준화 도구 W3C는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성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.
-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: WCAG (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)
➡️ 소리를 적용하는 방식, 마우스 없이 탐색 , 보조 기술과의 호환성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 접근할 수 있도록 콘텐츠 만드는 법 정의
- 저작도구 접근성 지침 : ATAG(Authoring Tool Accessibility Guidelines)
➡️ 장애를 가진 사람이 WCAG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콘텐츠 편집 도구를 만드는 법 정의
- 사용자 에이전트 접근성 지침 : UAAG(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)
➡️ 브라우저나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,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사용자 에이전트가 접근성이 좋게 만들어지는 방법 정의
- 시각장애인들은 폰트 굵기가 너무 가늘면 큰 사이즈의 폰트도 읽기 어려움
- 시각장애인들은 날짜 선택 네비게이션을 이해하기 너무 어려워 식당 예약이 어려웠음
- 시각장애인들은 그들의 시야 바깥에서 활성화된 로그아웃 버튼을 찾을 수 없었음
핵심원칙
- Perceivable(인지 가능)
: 모든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
- Operable(운용 가능)
: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와 네비게이션이 조작 가능해야합니다
- Understandable(이해가능)
: 콘텐츠 조작 방식이 사용자에게 이해 가능해야함
- Robust(견고성)
: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(보조기술 포함)에서도 잘 작동해야합니다
ex. 스크린 리더가 콘텐츠를 올바르게 해석 가능해야함
핵심지침
- 저작 도구 자체가 접근 가능해야함
: 툴 사용자, 제작자가 장애인일 수 있으니 도구 자체에 접근성을 갖춰야함
- 접근 가능한 콘텐츠 제작을 유도해야함
ex. 이미지 추가 시 대체 텍스트 추가 , 마크업 사입 쉽게 만들도록 하는 기능
핵심지침
- 키보드 접근성 보장
- 보조 기술과 호환
ex. 스크린 리더
- 사용자 제어 기능
- 콘텐츠 구조 노출
[Google Colab] GPU로 모델 돌리는 법 (0) | 2025.03.26 |
---|